Skip to main content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개요

서울 바이오메디컬클러스터의 조성배경과 방향을 안내합니다.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개요

서울 바이오메디컬클러스터의 조성배경과
방향을 안내합니다.

바이오메디컬 산업의 미래

바이오메디컬 산업의 미래

혁신의 축적을 통한 경험지식과 원천기술 확보

저성장․글로벌 경쟁환경에서, 대한민국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핵심은 실패와 경험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미래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적 육성이 필요한 시점

혁신의 축적을 통한 경험지식과
원천기술 확보

저성장․글로벌 경쟁환경에서, 대한민국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핵심은 실패와 경험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미래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적 육성이 필요한 시점

고령화시대

‘오래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오래사는 것’으로 관심 변화

고령화시대

‘오래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오래사는 것’으로 관심 변화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메디컬 산업이 폭발적 성장 추세

’24년, 세계 의약품+의료기기 시장규모 2.61조$ 예상 → 대한민국 3대 수출산업(반도체, 자동차, 화학) 시장규모 2.59조$
구글, 삼성, 애플,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기업과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바이오메디컬 및 디지털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노리며 투자확대 중

(단위: 달러)

※ 2018년 이후는 추정치

<자료: 프로스트앤드설리번>
최근 정부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을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대한민국 3대 신산업, 차세대 5대 수출 주력산업으로 선정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19.5.22.) : ‘25년까지 연간 4조원 이상 투자

최근 정부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을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대한민국 3대 신산업,
차세대 5대 수출 주력산업으로 선정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19.5.22.)
– 2025년까지 연간 4조원 이상 투자 –

서울 미래산업으로서의 가능성

산업기반과 정책지원을 바탕으로 성공가능성이 큰 서울시에서 적극적인 육성 필요
(전국적인 확산․파급)

서울 미래산업으로서의 가능성

산업기반과 정책지원을 바탕으로 성공가능성이 큰 서울시에서 적극적인 육성 필요
(전국적인 확산․파급)

대한민국 최고의 바이오메디컬 산업기반 (인재와 기술력)

서울 기본인구 + 중국/일본 + 동남아 등 충분한 수요와 테스트베드 보유
전국 TOP 5 병원/의과대학 집적 (의학/생명공학 관련 협회, 학회 포함)

대한민국 최고의 바이오메디컬
산업기반 (인재와 기술력)

서울 기본인구 + 중국/일본 + 동남아 등
충분한 수요와 테스트베드 보유

전국 TOP 5 병원/의과대학 집적
(의학/생명공학 관련 협회, 학회 포함)

바이오메디컬산업을 4대 서울형 유망산업의 하나로 선정(혁신성장프로젝트)

상계~홍릉~태릉 일대를 바이오 중심권역으로 정책적 육성 의지

홍릉 : 대학연계 R&D 및 스타트업 양성
상계 : 차세대 바이오산업 플랫폼 (병원, 중소․중견기업 및 지원시설)

바이오메디컬산업을 4대 서울형 유망산업의
하나로 선정(혁신성장프로젝트)

상계~홍릉~태릉 일대를 바이오 중심권역으로 정책적 육성 의지

홍릉 : 대학연계 R&D 및 스타트업 양성
상계 : 차세대 바이오산업 플랫폼
(병원, 중소․중견기업 및 지원시설)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조성방향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조성방향

“세계 최고의 차세대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수도권 동북부 480만을 보살피는 네트워크형 건강도시의 Test Bed

산업육성
최고수준의 산업생태계 구축

최고 수준의 병원, 기업, AC 유치로
R&D~사업화~보급 생태계 구축

연구환경
세계적인 교류·연구 환경 제공

부지제공 조건 등 선도시설
유치지원 및 산업인프라 우선 조성

확산·파급
수도권·전국적 바이오산업 네트워크 거점

홍릉~상계~태릉 트라이앵글 조성
및 전국단위 산업연계 ‧차별화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주요 도입기능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해외사례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해외사례

보스턴 ‘Kendall Square’ 바이오클러스터

명실상부, 세계 1위 바이오 클러스터

● 조성배경 및 추진경과

  • 하버드 메디컬스쿨, MIT 등이 위치하여 의학․약학․생명공학 관련 세계 최고 연구능력을 보유했으나, 산업적 발전은 부족했던 과거
  • 비영리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Mass Bio’ 설립, 10년간 1억달러 투자
  • 이에, 정부와 보스턴시, 하버드/MIT도 적극적 투자, 스타트업들이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암젠, 노바티스, 화이자, J&J,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등 대형 제약사 R&D센터와 투자사들이 스스로 입주
  • 현재는 300 여개의 다국적 제약사와 창업벤처 5,000여개 입주 (용지 약 200만㎡)

● 성공요인

① 하버드, MIT 기반으로 바이오 의료산업 생태계를 구축
  • 하버드, MIT 등 대학은 바이오 연구와 인재육성을 담당하고, 하버드 의대(병원), 메사츄세츠 종합병원 등은 신약·첨단 치료기술 개발 역할을 수행
  • 다국적 제약 및 바이오벤처 기업은 기술사업화, 일자리 제공 등 역할
② 바이오창업지원기관 ‘랩 센트럴’, ‘Mass Bio’, 민간기업 책임자 모임
  • 연구공간 임대 및 고가의 연구장비를 공용 사용 지원, 펀딩연계 서비스 등
  • 주변 MIT, 화이자 등 대형 제약사 담당자, 벤처캐피털리스트 들이 방문하여 주 3~4차례 모임 운영 (수요 파악 및 네트워크 형성 기회)

싱가포르 원노스 ‘바이오폴리스’

● 조성배경 및 추진경과

  • 싱가포르 미래산업 육성차원에서 첨단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외자유치 전략수립
  • 국·내외에서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원노스(총 200만㎡ 규모)’ 개발 추진
    → 도심에서 15분, 창이공항 40분
  • 원노스 중 바이오폴리스(최첨단 BT연구단지)는 약 18만5천㎡ 부지에 8~15층의 7개 건물들로 구성
    → 현재 3단계(2012~2020년) 추진 중으로, 2단계 조성 후 입주율 80%
  • 6만명의 연구 인력을 목표로 약 20년간 약10조원을 투입

● 성공요인

① 인력교육과 임상을 담당하는 세계 수준의 대학, 병원 유치
  • 미국 듀크대와 함께 듀크-국립싱가포르대학원 설립
  • 싱가포르 국립대학병원 및 치과대·영류린약학대·안양기술대 등 병원 등과 연계
②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토지 무상임대 인센티브 제시
  • 노바티스의 경우, 30년 토지 무상임대 및 30년 후 재임대 옵션
  • 화이트존 설정, 세금혜택, BT관련 규제완화까지도 동시에 제공
③ 원스톱 패키지 연구가 가능한 여건 조성
  • 싱가포르 바이오 연구개발을 관장하는 싱가포르과학기술연구원(A*STAR) 산하기관 등 공공연구소 입주
  • 사무공간, 연구시설 및 회의공간, IT인프라 등 기본설비와 실험용 동물자원까지도 제공
  • Chiron Corporation 등과 같은 세계적 바이오 벤처 캐피탈 투자 유도
  • 25개의 다국적 제약기업 생산공장이 밀집된 ‘투어스 바이오·메디컬파크’ 조성
  • 개발팀간 기술 이전 및 협력개발 환경 구축